• 목표액 20,000,000원 중 27%
  • 5,590,000
  • 후원 마감
  • 74 명 후원
  • 이 후원함은 2022-04-17에 종료되었습니다.
  • 후원마감

나눔의집 공익제보자 - 김대월님 이야기

2022/03/23

해 서른일곱의 김대월은 대학원에서 한국사를 전공했다. 박사과정을 밟던 중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로 했고, 우연한 기회로 2018년 나눔의집에 입사했다. 현장연구를 할 좋은 기회라 생각했으나 피해자를 소외하고 후원금을 유용하는 나눔의집의 현실을 목격하고 공익제보를 결심했다. 역사가이자 학예사로서 나눔의집 역사관이 본연의 역할을 회복하도록 노력했으며, 할머니들과도 사이가 돈독했다.

“정말 충격적인 문제니까 세상에 알리기만 하면 해결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우리 사회가 피해자들에게 갖는 애틋함이 있으니 굉장히 분노할 거다. 우리의 역할은 그걸로 끝이다. 판단 착오였죠. 우리 사회가 실은 일본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데 관심이 있었지 할머니의 삶에 대해서는 보려고 하지 않았다는 걸 잊은 거죠.

나눔의집은 무료양로시설로 등록되어 있어요. 무료 양로 시설이라고 하면 거동이 가능하고 수입이 없는 할머니가 오시는 곳인데, 여기는 다 수입이 있고 거동이 불가능한 할머니들이세요. 요양시설에 있어야 될 분이 양로 시설에 있는, 맞지 않은 옷을 입고 있는 건데. 나눔의집 쪽에서는 무료양로시설로 등록하면 매달 인건비 지원이 나오니까 좋았고, 광주시 입장에서는 뭐 딱히 아무도 문제 안 삼으니까 그냥 놔둔 거예요. 시로서는 지역 홍보가 되니 서로 윈윈한 거죠. 그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할머니는 없었죠. 

인건비를 아끼려고 인력을 적게 쓰다보니 직원들이 출근하면 서로 말할 새도 없이 일만 바쁘게 하다가 집에 가요. 밥 먹을 때 빼고는 할머니를 만날 시간이 없어요. 그러니 할머니를 만나도 다들 사무적으로 인사하게 돼요. 의미 없는 말들을 던지고 마는 거죠. 식사 많이 하셔야죠. 할머니 골고루 드셔야지 건강해지세요. 이게 무슨 대화입니까? 이런 게 시설의 폐해인 것 같아요. 

그런데 저는 태어나서 한 번도 사람을 그렇게 대해 본 적이 없거든요. 제가 워낙 장난을 좋아하는 사람이에요. 늘 그래왔듯이 할머니들 만나면 옆에 가서 장난을 많이 쳤어요. 할머니들은 그게 좋았던 거죠. 나를 시설 이용자로 보지 않고 사람으로 보고 대화하니까. 그러다 보니까 할머니들이랑 친해지기 시작했어요. 

이런 거죠. 할머니가 어느 날 고춧가루가 필요하다고 해요. 그런데 시설 사람들 생각에 할머니는 고춧가루를 살 필요가 없거든요. 할머니가 요리를 하는 것도 아니잖아요. 주는 밥 드시는데. 그러니까 안 사줘요. 저는 사다 드리죠. 왜? 아니, 할머니가 필요하다잖아요. 쓰고 안 쓰고는 나중 문제죠. 할머니에게 고춧가루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내가 판단할 필요가 있나요? 

나눔의집 안의 다른 사람들한테 아무리 얘기해도 안 된다는 설득만 당하는데 저한테 얘기하면 다음 날 눈앞에 갖다주니까 정말 좋아하셨죠. 일부러 의도하고 한 게 아니고 그냥 사람을 대하는 제 방식대로 했을 뿐이에요. 

역사적으로 사람을 한곳에 모아두는 곳은 군대나 감옥, 이런 곳이에요. 그런 곳 빼고는 사람을 모아놓을 이유가 없거든요. 그런데 사회복지를 한다면서 시설이라는 이름으로 사람을 모아놓는다? 

나눔의집은 외딴곳에 있어서 밖에 나가려면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돼요. 할머니가 자기를 밖에 내보내 줄 수 있는 사람한테 굉장히 의존적으로 돼요. 나눔의집 들어오는 순간 의존적으로 변하지 주도적으로 변하지 않아요. 나눔의집은 그걸 아주 십분 이용했어요. 예를 들면 증언하기 싫다는 할머니에게 증언 안 할 거면 나눔의집 나가라고 대놓고 얘기해요. 

여기 방문객들이 많을 때는 하루에 열 팀씩도 오거든요, 그 방문객들을 맞이해서 ‘저는 18살 때 위안부로 끌려갔던 누구입니다’ 이 말을 하루에 열 번씩 해야 한다 생각해 보세요. 이게 학대가 아니면 도대체 무엇이 학대인지. 할머니 얘기 듣고 학생들이 막 울어요. 그리고 용돈 모아 후원하거든요. 그걸 나눔의집에서 싹 가져가요. 할머니가 되게 무기력하게 다시 줘. 그런 거 보고 있으면 가슴이 찢어져요.

할머니들에게 지원했던 국민의 세금이 할머니의 삶을 윤택하게 했느냐? 그것도 아니에요. 나눔의집 할머니들은 갇혀서 어디 외출도 잘 못 하는데 매달 통장으로 330만 원씩 넣어주면 그 돈은 도대체 누가 가져가겠습니까? 자식 있는 사람들은 자식이 탐냈고 자식 없는 분들은 나눔의집에서 할머니 유서 위조해서 다 가져갔어요. 

저희가 공익제보하고 상을 많이 받았어요. 세어보니 일곱 개를 받았더라고요. 처음 상 받을 때는 ‘아 진짜 내가 무슨 일을 하긴 했나 보다, 사람들이 상도 주고’ 이런 생각을 했는데 지금은 상 준다고 하는 게 반갑지 않네요. 상은 일곱 개씩 받았는데 나눔의집은 하나도 변한 게 없고 더 악화되고 있으니까요.”